내부망 없이 인프라 관리 환경 구축하기 (Kubernetes, Keycloak, Oauth2 Proxy, Nginx Ingress)
최근 부대 사람들과 간단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코딩 공부를 하고 있다. 매일 일본어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하려면 좋은 공부 자료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내가 원하는 주제로 매일 공부 자료를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LLM을 이용해 직접 개발하기로 했다.
1851 단어
|
9 분
Cover Image of the Post
클라우드 VM 속에 VM 띄우고 Network Namespace와 통신 구현하기
최근 Linux의 Network Namespace(이하 NetNS), veth, Bridge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을 직접 만들어보며 학습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예전에 OpenStack 배포하면서 VM이 TAP을 통해 호스트의 브리지에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이에 호기심이 발동하여, 직접 생성한 브리지에 NetNS와 VM을 연결하여 서로 통신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얻었다.
3078 단어
|
15 분
Cover Image of the Post
Iptables와 Bridge로 Network Namespace 내부 통신 및 외부 인터넷 연결 제어하기
저번 글에서 Bridge, veth, Network Namespace를 이용하여 간단한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신하는 것을 구현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bridge를 통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Iptables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다룰 계획이다.
3394 단어
|
17 분
Cover Image of the Post
Network Namespace, veth, Bridge으로 리눅스 가상 네트워크 시나리오 구축하기
군 복무 중 재미있는 학습 주제를 고민하게 되었다. 책을 통한 이론 학습도 의미 있지만, code-server를 활용하면 군부대 PC방(사지방)에서도 원격 리눅스 환경에 접속하여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2352 단어
|
12 분
Cover Image of the Post
해군 SW개발병 합격 수기
2025-06-28
원래 나는 현역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하기 위해 입대를 미루고 있었다. 특성화고 출신은 아니었지만, 주변 대학 선배들이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하는 사례를 종종 접할 수 있었다. 운 좋게 TO가 있는 회사에 입사하여 수습 기간까지 마쳤으나,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당시 산업기능요원 편입 조건은 ‘대학교 2학년 수료’였는데, 졸업에 필요한 140학점의 절반인 70학점을 채우지 못한 67학점 상태였던 것이다. 결국 나는 자격 미달이었고, 회사는 TO를 소진해야 했기에 편입은 무산되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참 바보같은 상황이다.
2669 단어
|
13 분
Cover Image of the Post
해군 SW개발병으로 살아남기
2025-06-27
해군 SW개발병으로 입대하며, 어떻게 해야 이 시간을 생산적으로 보낼 수 있을지 깊이 고민했다. 훈련소와 후반기 교육을 마치고 자대에서 업무에 적응하다 보니, 어느덧 복무 기간의 30%가 훌쩍 지나 있었다. 매일 무언가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었지만,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없다는 생각에 종종 허탈함이 밀려왔다. 타오르던 학습 의욕도 명확한 결과물 없이는 쉽게 사그라들기 일쑤였다.
1582 단어
|
8 분
Cover Image of the Post